JavaScript

[JavaScript] 1. JavaScript 개요

hyomee2 2024. 10. 11. 15:45

JavaScript의 성장

1. Ajax(1999년)

: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서버와 브라우저가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

전체 웹페이지 렌더링(HTML, CSS, JS로 작성된 문서를 해석해서 브라우저에서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아닌 필요한 데이터만 한정적으로 렌더링하여 빠른 성능과 부드러운 화면 전환이 가능해졌다.

2.jQuery(2006년)

번거롭던 DOM을 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고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 크로스 브라우징: 웹페이지가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맞게 보여지거나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작업. 즉, 기기가 달라지더라도 웹페이지가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이다.

3. V8 자바스크립트 엔진(2008년)

더욱 빠르게 동작하는 구글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개발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착하게 되었다. 

웹 서버에서 수행되던 로직이 클라이언트(브라우저)로 이동하는 등 프론트엔드 영역이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4. Node.js(2009년)

: 브라우저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만 동작하던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이외의 환경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브라우저에서 독립시킨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

서버 사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주로 사용되며 이에 필요한 내장 API를 제공한다.

5. SPA 프레임워크

CDB(Component based development)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가 대중화되면서 Angular, React, Vue.js 등 다양한 SPA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가 많은 사용층을 확보하고 있다.


JavaScript의 특징

1. 웹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유일한 프로그래밍 언어다.

2. 개발자가 별도의 컴파일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 인터프리터 언어: 코드가 실행되는 순간(런타임)에 한줄씩 바이트 코드로 변환되며 실행되는 언어(속도 느리다)

- 컴파일 언어: 작성되어 있던 코드들이 한 번에 컴파일을 통해 바이트 코드로 변환되고 실행되는 언어(컴파일 시간은 걸리지만 실행 시간은 짧다)

3.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언어보다 효율적이면서 강력한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지향 언어이다.

4. 브라우저 환경 또는 Node.js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다.

- 두 환경 모두 자바스크립트의 코어인 ECMAScript는 실행할 수 있다.

- 브라우저는 파싱된 HTML 요소를 선택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의 집합인 DOM API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만 브라우저 외부에서 자바스크립트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인 Node.js는 DOM API를 제공하지 않는다.

- Node.js에서는 파일 시스템을 기본 제공하지만 브라우저는 보안 상의 이유로 제공하지 않는다.